오늘의 한국사 10월 10일
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역사

오늘의 한국사 10월 10일

by the Jungs 2020. 10. 10.

오늘의 한국사 10월 10일

1957 육당 최남선 사망


최남선[崔南善,1890.4.26~1957.10.10]


한국의 사학자·문인. 잡지《소년》을 창간,〈해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했다. 한국 근대문학의 선구자 중 하나이다. 독립선언문을 기초하고 민족대표 48인 중 하나였지만, 이어 친일 활동을 하였다. 진흥왕순수비를 발견하였다.
본관 동주(東州:鐵原), 호 육당(六堂), 자 공륙(公六), 아명 창흥(昌興), 세례명 베드로이다. 자습으로 한글을 깨쳐 1901년(광무 5)부터 《황성신문》에 투고했고 이듬해 경성학당에 입학하여 일본어를 배웠다. 1904년 황실유학생으로 소년반장(少年班長)이 되어, 도쿄[東京]부립중학에 입학했으나 3개월 만에 귀국했다. 1906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早稻田]대학 지리역사학과에 들어가 유학생회보 《대한흥학회보(大韓興學會報)》를 편집하면서 새로운 형식의 시와 시조를 발표했다.

1906년 3월 사비로 다시 일본 와세다대학교 고등사범부 지리역사과에 입학하였으나, 1907년 학교를 자퇴하고, 이듬해 귀국하여 자택에 신문관(新文館)을 설립하고 인쇄와 출판을 했다. 다음해 잡지 《소년》를 창간하여 논설문과 새로운 형식의 자유시 〈해(海)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하고, 한편 이광수의 계몽적인 소설을 실어 한국 근대문학의 선구자의 한 사람이 되었다. 1909년 안창호(安昌浩)와 함께 청년학우회 설립위원이 되고, 이듬해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를 창설하여 고전을 간행하고 20여 종의 육전소설(六錢小說)을 발간했다. 1913년 다시 《아이들 보이》를 창간했으나 이듬해 폐간되자 다시 《청춘(靑春)》을 발간하여 초창기 문학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919년 3·1운동 때는 독립선언문을 기초하고 민족대표 48인 중의 한 사람으로 체포되어 2년 6개월형을 선고받았으나 다음해 가출옥했다. 1922년 동명사(東明社)를 설립, 주간지 《동명(東明)》을 발행하면서 국사연구에 전념했다. 1924년 《시대일보(時代日報)》를 창간, 사장에 취임했으나 곧 사임, 이듬해 《동아일보(東亞日報)》의 객원이 되어 사설을 썼다.

 


1927년 조선총독부의 어용단체인 조선사편찬위원회 촉탁을 거쳐 위원이 되었고, 1932년 중앙불교전문학교 강사가 되었다. 1938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만몽일보(滿蒙日報)》 고문으로 있다가 1939년 일본 관동군이 세운 건국대학(建國大學) 교수가 되었고, 귀국 후 1943년 재일조선인 유학생의 학병지원을 권고하는 강연을 하기 위하여 도쿄로 건너갔다. 광복 후 우이동(牛耳洞)에 은거, 역사논문 집필에 전념하다가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기소되어 1949년 수감되었으나 병보석되었다. 6·25전쟁 때 해군전사편찬위원회 촉탁이 되었다가 서울시사(市史) 편찬위원회 고문으로 추대되었고, 그후 국사관계 저술을 하다가 뇌일혈로 작고했다.

신문화 수입기에서 언문일치(言文一致)의 신문학운동과 국학(國學) 관계의 개척에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다. 이원(利原)의 진흥왕순수비(眞興王巡狩碑)를 발견하였다. 저서에 창작 시조집 《백팔번뇌(百八煩惱)》, 시조집 《시조유취(時調類聚)》, 역사서 《단군론(檀君論)》 《조선역사》 《삼국유사해제》 《조선독립운동사(朝鮮獨立運動史)》 등 다수가 있다.

 

1932 이봉창 의사 순국

 

이봉창[李奉昌,1901.8.10~1932.10.10]


금정청년회(錦町靑年會),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 등에서 활약한 독립운동가. 히로히토에게 수류탄을 던졌으나 실패하고 체포된 후 사형당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1901년 8월 10일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용산 문창(文昌)보통학교를 졸업, 일본인이 경영하는 과자점 점원으로 있다가, 1918년 남만주철도주식회사(南滿洲鐵道株式會社) 기차운전견습생으로 들어갔으나, 1924년 9월 용산 일대에서 금정청년회(錦町靑年會)를 조직하여 간사로 있으면서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듬해 형 범태(範泰)와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오사카[大阪]에서 철공소 직공으로 일하다가 일본인의 양자가 되어 기노시타 쇼조[木下昌藏]라는 이름으로 도쿄[東京]·오사카 등지를 전전하였다.

 

 

1931년 중국 상하이[上海]로 건너가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에 가입, 임시정부 국무위원 김구(金九)의 지시를 받고 일본 왕 히로히토[裕仁]를 암살하기로 결심하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여기에는 양이섭(梁履涉)과 이춘태(李春泰)도 연루되어 있었다.


1932년 1월 8일 일본 왕이 만주국 푸이[溥儀]와 도쿄 교외에 있는 요요기[代代木] 연병장에서 관병식(觀兵式)을 마치고 돌아갈 때 사쿠라다문[櫻田門]에서 히로히토를 향하여 수류탄을 던졌으나 실패하고 체포되었다. 그 해 10월 비공개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이치가야[市谷]형무소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1928 독립운동가 조명하 순국

 

조명하[趙明河,1905.4.8~1928.10.10]


한말 독립 운동가. 일본 왕족 구니노미야 구니히코가 육군 특명 검열사로 타이완에 오자 타이중시 역전에서 환영하는 일본인 인파에 묻혔다가 달려들어 독검으로 구니노미야를 찔렀다.

 


"저 세상에 가서도 자주독립운동은 계속하리라"
“나는 삼한(三韓)의 원수를 갚았노라. 아무 할 말은 없다. 죽음의 이 순간을 나는 이미 오래 전부터 각오하고 있었다. 다만 조국 광복을 못 본채 죽는 것이 한스러울 뿐이다. 저 세상에 가서도 자주독립운동은 계속 하리라.”
  
조명하 의사가 1928년 10월 10일 오전 10시 타이완 타이페이 일제 처형장에서 순국 직전 남긴 유언이다.

 


본관 함안(咸安). 황해도 송화(松禾) 출생. 가난하여 보통학교를 중퇴하고 군청의 고용원으로 있으면서 강의록으로 독학하였다. 1926년 일본으로 건너가 오사카[大阪] 전기회사·아다치[安達] 메리야스상점 등에서 고용원으로 일하면서 야간학교를 다닌 후 타이완[臺灣]으로 건너가 부국원(富國園)상점에서 일하였다.

 

 


1928년 일본왕족 구니노미야 구니히코[久邇宮邦彦]가 육군특명검열사로 타이완에 오자 타이중시[臺中市] 역전에서 환영하는 일본인 인파에 묻혔다가 달려들어 독검(毒劍)으로 구니노미야를 찔렀다. 현장에서 붙잡혀서 그후 사형되었으며, 이 때의 부상으로 구니노미야는 이듬해 1월 사망하였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1897 숭실학교 평양에 설립

 

숭실고등학교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목표는 하나님의 말씀을 참된 이치로 삼아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 사람을 사랑하는 사람, 나라를 사랑하는 사람을 육성하는 것이다.



1897년 10월 10일 평양 신양리에서 개교하여 1901년 10월 25일 평양 신양리 39번지에 교사를 신축, 이전하고 교명을 숭실학당으로 개명하였다. 1938년 3월 19일 일제의 강압적인 신사참배 요구를 거부하여 강제 폐교되었다. 1975년 2월 10일 은평구 신사동에 교사를 신축하고 이전하였으며, 1998년 2월 4일 1997년 학교평가에서 우수학교로 선정되었다.

교내시설은 보통교실과 특별교실 등을 갖추었다. 클럽활동은 1999학년도에는 과제별 선도 거점 학교로 선발되어 교육청에서 예산 1,500만 원의 지원을 받으면서 클럽활동을 통한 진로지도 활성화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특기사항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1897년 창설 당시부터 서북지방의 음악활동 중심지로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음악을 가르친 곳이다. 둘째, 선교사인 배위량이 신앙심 고취와 화목을 도모하기 위해 불렀던 찬송이 숭실학교 교가의 효시가 되었고 한국 교가로서는 두번째에 해당한다.

셋째, 숭실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로 하여금 선배 시인 윤동주의 높은 문학성과 그의 조국과 인간에 대한 순수한 사랑으로 웅집된 숭실인됨을 기리고 기념하여 숭실문학의 발전과 빛나는 전통을 계승하도록 하기 위하여 매년 개교기념일에 윤동주문학상을 시상한다.

 

1856 추사 김정희 사망

 

김정희[金正喜,1786~1856]


조선 후기의 서화가·문신·문인·금석학자. 1819년(순조 19)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대사성,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학문에서는 실사구시를 주장하였고, 서예에서는 독특한 추사체를 대성시켰으며, 특히 예서·행서에 새 경지를 이룩하였다.

본관 경주. 자 원춘(元春). 호 완당(阮堂)·추사(秋史)·예당(禮堂)·시암(詩庵)·과파(果坡)·노과(老果). 충청남도 예산에서 출생하였다. 1809년(순조 9) 생원이 되고, 1819년(순조 19) 문과에 급제하여 세자시강원설서(世子侍講院說書)·충청우도암행어사·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24세 때 연경(燕京)에 가서 당대의 거유(巨儒) 완원(阮元)·옹방강(翁方綱)·조강(曹江) 등과 교유, 경학(經學)·금석학(金石學)·서화(書畵)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그의 예술은 시·서·화를 일치시킨 고답적인 이념미의 구현으로 고도의 발전을 보인 청(淸)나라의 고증학을 바탕으로 하였다. 1840년(헌종 6) 윤상도(尹尙度)의 옥사에 연루되어 제주도로 유배되었다가 1848년 풀려나왔고, 1851년(철종 2) 헌종의 묘천(廟遷) 문제로 다시 북청으로 귀양을 갔다가 이듬해 풀려났다.

 

학문에서는 실사구시(實事求是)를 주장하였고, 서예에서는 독특한 추사체(秋史體)를 대성시켰으며, 특히 예서·행서에 새 경지를 이룩하였다. 그는 함흥 황초령(黃草嶺)에 있는 신라 진흥왕 순수비(巡狩碑)를 고석(考釋)하고, 1816년에는 북한산 비봉에 있는 석비가 조선 건국시 무학대사가 세운 것이 아니라 진흥왕 순수비이며, ‘진흥’이란 칭호도 왕의 생전에 사용한 것임을 밝혔다. 또한 《실사구시설》을 저술하여 근거 없는 지식이나 선입견으로 학문을 하여서는 안 됨을 주장하였으며, 종교에 대한 관심도 많아 베이징[北京]으로부터의 귀국길에는 불경 400여 권과 불상 등을 가져와서 마곡사(麻谷寺)에 기증하기도 하였다. 70세에는 과천 관악산 기슭에 있는 선고묘(先考墓) 옆에 가옥을 지어 수도에 힘쓰고 이듬해에 광주(廣州) 봉은사(奉恩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다음 귀가하여 세상을 떴다. 문집에 《완당집(阮堂集)》, 저서에 《금석과안록(金石過眼錄)》 《완당척독(阮堂尺牘)》 등이 있고, 작품에 《묵죽도(墨竹圖)》 《묵란도(墨蘭圖)》 등이 있다.

 

 

 

#역사 #오늘의역사 #역사적인물 #과거 #역사적사실 #조선시대 #근현대사 #근대사 #현대사 #대한민국 #오늘역사 #역사하루 #한국사 #오늘의한국사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한국사 10월 12일  (0) 2020.10.12
오늘의 한국사 10월 11일  (0) 2020.10.11
오늘의 한국사 10월 9일  (0) 2020.10.10
오늘의 한국사 10월 8일  (0) 2020.10.08
오늘의 한국사 10월 7일  (0) 2020.10.08

댓글